자녀사랑하기 뉴스레터 |
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작성자 | 백선희 | 등록일 | 22.05.27 | 조회수 | 353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첨부파일 |
|
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아이들은 각기 다른 개성을 가지며 부모님과도 다른 독립적인 인격체입니다. 기질, 양육 방식, 그 동안의 경험 등에 따라 다른 아이들과 차별되는 그 아이만의 고유한 정서발달이 이루어집니다. 자녀가 부모를 이해해 주기를 기대하지 마시고 부모님이 자녀에게 조금 더 귀 기울이면서 예민하게 잘 반응하고 공감해 주십시오. 부모님이 말로 자녀의 마음을 읽어주고, 감정을 조절하는 모범을 보여 주세요. 감정조절을 잘 배우면 사회성도 좋아지고 새로운 환경에도 잘 적응합니다.
(부모님이 바라는 것만 생각하지 말고) 먼저 내 아이의 타고난 강점과 약점, 그리고 특성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잘 살펴보세요.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(ADHD), 우울, 불안, 감정조절 등의 문제를 가진 자녀는 부모와 갈등을 겪을 수 있지만, 시의적절한 도움을 받으면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습니다.
자녀의 강점이나 특성, 예상되는 어려움에 대해서 미리 담임 선생님께 알려주십시오. 부모님이 언제나 자녀 편이며 같이 문제를 도우리라는 것을 알리고, 적극적으로 담임 선생님과 상의해 주십시오.
수면은 1일 적정 시간을 유지하고, 밤 시간에 잠들 수 있도록 도와 주세요. 패스트푸드는 자주 먹지 않도록 유의해 주세요. 자녀의 체중에 큰 변화가 있다면 그 이유를 살펴봐 주세요. 하루 1시간 이상은 숨이 차거나 땀이 날 정도의 운동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. 가만히 앉아서 쉬거나 누워있는 시간이 지나치게 길지 않도록 살펴 주세요. 자녀의 체중에 큰 변화가 있다면 그 이유를 살펴봐 주세요. 학습 이외의 목적으로 스마트폰 등을 과도하게 사용하지 않도록 살펴 주세요.
부모님께서 다음 25개 질문에 체크하는 간단한 방법을 통해서 우리 자녀의 마음 건강 상황을 알아볼 수 있어요. 지난 6개월 동안의 자녀의 행동을 떠올려서 체크해주시면 됩니다.
자녀의 마음 건강 진단 결과가 나쁘다고 해도 걱정하지 마세요. 도움을 받을 수 있는 다양한 기관이 있어요. 아래에서 알려드리는 곳에서 자녀의 마음 건강 상담이 가능합니다.
WHO의 발표에 따르면 전 세계 소아청소년의 약 20%가 정신질환을 앓고 있고, 성인 정신질환의 약 50%가 14세 이전에 발병한다고 합니다. 매번 자녀들의 건강 상태를 점검하고 살피는 일이 어렵지만, 조기에 대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 부모님께서 꾸준히 자녀의 마음 건강을 살피고 자녀와 많은 대화를 나누면서 함께 시간을 보내주세요. 본 뉴스레터의 내용에 대한 추가적인 궁금증이 있으시다면 아래의 이메일이나 전화로 문의주세요.
2022년 5월 27일
대 현 초 등 학 교 장 |
이전글 | 2022. 올바른 성관념과 가정에서의 양성평등교육 안내 |
---|---|
다음글 | 2022학년도 어린이 안전사고 예방 안내 |